본문 바로가기

개발2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구성에 관해 알아두면 좋을 것들 오늘은 제가 생각하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구성에 관해 알아두면 좋을 것들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업계 전문가 분들이 보시기에는 많이 부족하겠지만, 시니어의 도움 없이 혼자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해야 하는 주니어 입장에서는 도움이 될 수 있을것 같습니다. id 속성 사용테이블에는 id라는 이름으로 정수형태의 인공키(surrogate key)를 기본키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테이블의 속성 중 하나를 골라 기본키로 설정할 수도 있겠지만 인공키를 사용하면모든 테이블이 동일한 형태의 기본키를 사용하므로 가독성이 향상됩니다. (모든 테이블의 기본키 속성 이름은 id라는 것이 보장됨)추후 다른 속성으로 기본키가 변경될 경우, 변경 전 기본키를 참조하던 다른 테이블들의 외래키 설정을 수정할 필요가 없습니다.대부분의.. 2025. 3. 20.
소프트웨어에서 정수가 아닌 실수를 다루는 법 컴퓨터는 데이터를 이진수 체계를 이용해 0과 1로 저장합니다. 정수를 저장할 경우 해당 정수를 이진수로 변환한 후 이를 메모리에 저장합니다. 10진수 정수를 우측부터 2^0, 2^1, 2^2... 에 해당하는 수로 변환하는 정수-이진수 변환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그런데 소수부가 포함된 125.275 같은 정수가 아닌 실수를 이진수로 변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무래도 정수의 이진수 변환과는 다른 규칙이 필요해 보입니다. 그리고 25.23423112342343243232444... 같은 긴 실수를 변환해야 할 경우를 생각해 보면, 두 실수 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실수가 존재한다는 특성상 이를 유한한 비트로 나타내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소프트웨어에서 정수가 아닌 실수를 다뤄야 .. 2025. 3. 16.